본문 바로가기
문화유산

경인선개통 120주년 기념 기획전시

by 뚜버기여행@ 2020. 11. 13.

"쇠당나귀"가 우레와 번개처럼 달렸다.

경인선 전 구간 개통

120주년 기념 기획전시 개최

2020.11.13일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과 한국철도공사는 경인선 완전 개통 120주년을 기념하여 11월 9일부터 11월 23일까지 용산역 맞이방(3층 대합실)에서 ‘철마의 길, 철로 위의 사람들’이라는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자료출처/행정안전부

 

증기 기관차 협궤열차(挾軌列車)

 

“차마다 모두 바퀴가 있어 앞차에 화륜이 한번 구르면 여러 차의 바퀴가 따라서 모두 구르게 되니 우레와 번개처럼 달리고 바람과 비처럼 날뛰었다.” 1876년 김기수는 『일동기유(日東記游)』에서 처음 본 기차를 이렇게 묘사했다. 당시에는 기차를 ‘쇠당나귀’라고도 표현했다.

 

백여년 전 기차는 서울에서 인천까지 걸어서 12시간 걸리던 것을 1시간 40분으로 줄여주는 획기적이고 혁신적인 문물이었다. 기차를 타면 서울에서 부산까지 2시간 반이면 이동하는 현재의 발전사를 각종 기록을 통해 살펴보는 전시회가 마련되었다.

 

전시는 크게 5개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1부에서는 불을 내뿜으며 달리는 수레 ‘화륜거’(火輪車)인 철도를 소개한 일동기유와 당시 한강철교 사진, 기관차 및 선로 도면 등을 통해 한반도에 기차가 들어온 역사를 되짚어볼 수 있다.


(좌)경인철도 기공식(1897년)    (우)서울과 제물포를 잇는 한강철교(1900년 추정)

 

2부는 일제강점기 수탈의 수단이자, 독립운동의 ‘발’이기도 했던 기차 이야기로, 철도 관련 독립운동 판결문, 해방 직후의 기차 모습 등을 살펴볼 수 있다.

 

(좌)  탱크형 기관차 제작 도면(1926년)  (우)경인선 남경성(현 영등포)-오류동간 복선 용지도(1940년)

 

3부는 6.25전쟁 당시 군인, 군수품뿐만 아니라 피난민을 가득 싣고 달리는 기차 모습 등을 통해 전쟁 중의 기차 이야기를 담고 있다.

 

(좌)임시군용철도감부 철도이원양성소 졸업대장(1905년)  (우)전우진(41세, 우체국직원)의 독립운동 판결문(1923년) '철도 수하물(권총, 탄약)을 상해로부터 받아 남대문역에서 수치하여 조선독립운동에 사용하였다.'

 

(좌)우리 기술로 조립한 첫 증기기관차인 해방자호(1946년)  (우)기차로 이동하는 피난민(1950년)

 

4부에서는 산업화 시기 기차의 발전으로 변화하는 우리 일상과 기차 속 풍경을 사진과 영상으로 만나 볼 수 있다. 마지막은 분단의 상징인 끊어진 철도가 다시금 이어져 한 장의 기차표로 유럽까지 갈 수 있는 그날이 다시 오기를 희망하는 공간으로 구성하였다.

 

(좌)산업철도 영암선 개통(1955년)  (우)백마부대 청량리 출발 부대원 환송(1965년)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장은 “이번 전시는 경인선 완전 개통 120주년을 맞아 국민들에게 친숙한 기차를 소재로, 국가기록원이 소장하고 있는 중요 기록물들을 선보이는 기회로 마련하였다.”며, “그간 보기 어려웠던 철도 관련 옛 사진과 도면들을 직접 보는 흥미로운 전시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좌)서울역 구정 귀성객 전경(1977년)  (우)신혼열차(1987년)


 

(좌)고속철도 및 신국제공항 건설계획(1989년)  (우)철도중단점(1976년)

 

손병석 한국철도 사장은 “1899년 경인선의 첫 기적이 울리고, KTX 개통으로 세계 5번째 고속철도 운영국이 된 대한민국의 철도는 대표 교통수단으로 국민과 함께 성장해 왔다.”며 “이번 전시는 철도로 한국사를 조명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뜻깊으며, 앞으로도 한국철도는 국민의 발로서 역할을 다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댓글